본문 바로가기
커피학

커피의 의의와 역사

by 다산동아줌마 2022. 6. 30.

1. 커피의 의의


(1) 커피의 의미와 맛


① 커피의 의미와 기원

 커피는 커피나무 열매를 가공하여 만든 것으로, 특유의 향과 맛을 지닌 기호 음료이다. 커피는 커피나무의 씨를 볶아 원두를 만든 후, 원두를 갈아 추출한다. 커피는 6세기경 에티오피아 남서쪽 고원지대인 카파(Kaffa) 지역에서 발견되었고, '커피'라는 명칭은 1650년경부터 사용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② 커피의 맛

 커피는 일반적으로 쓴맛,신맛,단맛 등으로 되어 있는데, 쓴맛은 카페인 성분에서 비롯 된 것이며, 신맛은 지방산, 단맛은 당질에서 비롯된 맛이다.



(2) 커피의 어원과 명칭


① '커피'라는 단어는 아랍어가 어원인 카와(Khawah 또는 Qahwa)라는 설과 에티오피아어 카파(Kaffa)라는 설 등 몇몇 견해가 있다. 일반적으로 커피의 어원은 와인을 의미하는 고대 아랍어 '카와'에서 유래하였다고 본다. 커피의 원산지로 알려진 에티오피아의 카파는 에티오피아어로 '힘'이라는 뜻이다.

② 커피의 아랍어 명칭인 'Kauhi' 가 터키로 건너가 'Kahve(Kaweh)'로 불리다가, 유럽으로 건너가 프랑스에서는 'Cafe',이탈리아에서는 'Caffe', 네덜란드에서는 'Koffie', 영국에서는 ' Coffee'로 불리게 되었다. 커피는 '분컴(Bunchum)' 또는 '차우베(Chaube)'로 불리기도 하였으며, '커피(Coffee)'라는 명칭은 고대 아랍어인 '카와'에서 유래하여 터키어 '카흐베(Kahve)'를 거쳐 탄생한 명칭이라 할 수 있다. 커피가 구한말 우리나라에 처음 들어왔을 때는 한자식 표기인 '가베(珈琲)' 혹은 '가비(加菲)'로 불리거나 서양에서 들어온 탕이라는 의미의 '양탕국'으로 불리기도 했다. 1989년 고종의 승하 후 독립신문의 기사에서는 '카피차'라는 한글식 표현으로 지칭하기도 했다.


2. 커피의 역사


(1) 커피의 발견과 전설

 커피는 6세기 무렵 (AD 600~800년) 에티오피아의 고원지대인 카파(Kaffa) 지역에서 기원하였다고 알려져 있으며, 커피의 발견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① 칼디(Kaldi)의 전설

 에티오피아의 목동 칼디가 염소들이 빨간 열매를 따 먹고 흥분하는 모습을 목격하고 이를 수도승에게 알리게 되었고, 수도승은 그 열매의 맛을 본 후 정신이 맑아지고 졸음이 달아난다는 것을 경험하게 되었다. 이후 커피 열매는 수도승들이 애용하게 되면서 이슬람 사원을 중심으로 커피의 소비가 급속히 확대되었다.


② 오마르(Omar)의 전설

1,200년경 아라비아의 사제였던 오마르(Sheik Omar)가 어느 날 산에서 길을 잃었는데, 배가 너무 고파 새가 쪼아 먹던 빨간 열매를 먹게 되었다. 이때 오마르는 활력을 되찾게 되었고 이 열매의 효능을 알게 되었는데, 이후 오마르가 이 열매를 사람들의 치료에 이용하게 되면서 열매가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③ 마호메트(Mohammed)의 전설(가브리엘의 전설)

 밤낮으로 기도하느라 지친 마호메트를 위해 천사 가브리엘이 커피를 하사하였다는 전설과 이스라엘의 한 도시 사람들이 알 수 없는 역병으로 고생하고 있을 때 가브리엘이 솔로몬 왕에게 커피를 주며 끓여서 병든 사람들에게 먹여 보라고 했다는 전설 등이 전해지고 있다.

 


④ 그 밖에 새의 전설, 에티오피아 기원설 등이 있다.



(2) 커피의 경작과 발전


① 커피의 경작

 에티오피아에서 발견된 커피는 이내 아라비아 전역으로 전파되었고 이후 커피나무에서 열매를 채취하던 형태에서 커피나무의 경작으로 발전하였는데, 본격적인 경작은 7세기 초반 예멘 지역에서 처음으로 시작되었다.


② 커피의 발전

 아라비아 지방의 커피가 전파된 지역에서 재배된 커피는 아라비카 (Arabica) 종으로 발전하였고, 콩고로 건너가 현지 풍토에 적응하며 품종이 새롭게 변한 커피는 로부스타 (Robusta) 종으로 발전하였으며, 리베리아 지방으로 전파되어 현지에 적응한 커피는 리베리카 (Liberica) 종으로 발전하였다. 초기에 커피는 식용이나 약용의 용도로 주로 사용되다가 이슬람 문화권에 의해 음료로 발전되었는데, 이로 인해 커피를 '이슬람의 와인' 이라 부르기도 한다.


※  예멘의 '모카'

커피를 최초로 수출한 예멘의 항구 명칭이자, 예멘과 에티오피아에서 생산되는 최상급 커피의 총칭에 해당한다. 초콜릿이 들어간 음료에 붙이는 명칭이기도 하다.


(3) 커피의 전파

 커피는 아라비아 상인들과 무역하던 베니스 무역상들에 의해 유럽에 최초로 소개되었다. 커피가 전파된 초기에는 이슬람교도들이 즐겨 마신다는 이유로 배척되기도 하였으나, 교황 클레멘트 8세가 커피를 먹어본 후 1605년 커피에 세례를 해 준 것이 유럽에 널리 퍼지는 계기가 되었다.


① 이탈리아

 1616년 이탈리아의 베니스 무역상들에 의해 커피가 베네치아에 소개되었고, 1645년 베네치아에 최초의 커피하우스가 문을 열었다. 1720년에는 베네치아에서 가장 번화한 산 마르코 광장에 '카페 플로리안(Caffe Florian)'이 문을 열었는데,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카페로 기록되어 있다.


② 영국

 1650년 영국 옥스퍼드에 유대인 야곱에 의해 최초의 커피하우스 ('1 Penny University') 가 개장하였고, 1652년에 런던에 커피하우스가 개장하였다. 영국의 커피하우스는 우체국의 역활과 증권거래소, 상품거래소, 공론의 장의 기능을 수행하였는데, 로열 소사이어티(왕립학회)가 옥스퍼드 타운의 커피하우스에서 결성되어 현존 최고(最古)의 사교클럽으로 발전하였다.


③ 프랑스

 1669년 파리에 커피가 소개되었고, 1671년에 최초의 프랑스 커피하우스가 마르세유에 문을 열었다. 진정한 의미의 커피하우스는 프로코프 콜델리에 의해 1686년 파리에서 오픈한 '카페 프로코프(Cafe de Procope)' 였는데, 오픈 후 저명 시인과 극작가, 배우, 음악가들이 출입하는 지식인들의 살롱으로 자리 잡았다.


④ 미국

 1668년에 북미의 대도시에서 커피를 마셨다는 기록이 있으며, 1691년 영국 식민지 시대 미국 최초의 커피숍 '거트리지 커피하우스 (Gutteridge coffeehouse)' 가 보스턴에 문을 열었다. 이후 1696년에는 뉴욕 최초의 커피숍 '더 킹스 암스 (The King's Arms)' 가 문을 열었다. 미국은 당시 영국의 영향으로 주로 차를 소비하던 국가였으나 1773년 '보스턴 차 사건' 이후 차가 영국 식민 지배의 상징으로 인식되면서 인가가 떨어졌고, 미국 독립운동의 일환으로 커피가 권장되면서 커피가 큰 호응을 얻기 시작했다.


⑤ 브라질

 1727년 브라질의 장교 팔레타 (Francisco de Melo Palheta) 가 기아나에서 커피를 들여왔고, 포르투갈에서 독립한 1822년 이후 본격적으로 생산하였다. 20세기 초인 1930년대에는 전 세계 커피 생산량의 70% 정도를 생산하기도 했으며, 현재까지도 커피 생산량이 가장 많은 국가의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⑥ 일본

 일본은 에도시대(1603년~1867년)에 커피가 다른 여러 서양 문물과 함께 전파되었다는 설이 유력하다. 1854년 미국의 요구에 굴복하여 여러 항이 개항된 후 외국인 체류자를 상대로 한 카페가 생겨나기 시작했으며, 태평양 전쟁(1941년) 이후 미국 문화의 영향으로 커피하우스가 여러 곳에서 생겨났다.


⑦ 우리나라

 고종을 1896년 일본 세력으로부터 위협을 느껴 러시아 대사관으로 피신한 아관파천 당시, 러시아 공사 베베르로부터 커피를 대접받게 되면서 커피를 처음으로 접하게 되었다. 고종은 환궁 후 덕수궁 안에 정관현(靜觀軒)이라는 서양식 정자를 짓고 그곳에서 커피를 즐겼다고 한다. 당시 민간에서는 커피를 서양에서 들어온 국물(탕)이라 하여 '양탕국' 이라 불렀으며, 손탁 여사가 운영하던 우리나라 최초의 커피하우스로 손탁호텔이 있었다. 1898년 자신의 유배형에 앙심을 품은 역관이 몇몇 관료를 매수해 고종과 순종을 독살하고자 커피 독살사건을 기도하기도 하였다.



(4) 커피 재배 지역의 확대


① 아시아 지역

 커피는 이슬람 수도승에게 필수적인 음료로 수행에 많은 도움을 주었으므로 커피의 외부 반출은 엄격히 통제되었다. 1600 년경 인도 출신의 이슬람 승려 바바부단 (Baba Budan)은 메카에서 커피 씨앗을 행랑에 몰래 숨겨와 인도의 마이소어 (Mysore) 지역에 커피를 심어 커피의 외부 반출이 이루어졌다. 또한 네덜란드는 1616년 예멘의 모카에서 커피 묘목을 밀반출하여 암스테르담 식물원에서 재배했으며, 1696년에는 인도네시아 자바 지역에 옮겨 재배함으로써 유럽 국가 중 최초의 커피 수출국이 되기도 했다.


② 카리브해 지역

 카리브해 지역에서 커피가 처음으로 재배된 곳은 마르티니크섬인데, 프랑스의 해군 장교 클리외가 1723년경 프랑스 왕립 식물원에서 커피 묘목을 구해와 자기가 근무하는 마르티니크섬에 심었다고 전해진다. 이후 마르티니크 지역을 통해 카리브해와 중남미 지역에 커피가 전파되었다.

 

 

 

 

 

 

 

'커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커피의 원산지, 생산 및 소비  (0) 2022.07.04
커피의 분류 및 평가  (0) 2022.07.03
커피의 수확 및 가공  (0) 2022.06.30
커피의 재배  (0) 2022.06.30
커피나무와 품종  (0) 2022.06.30

댓글